1억 명 쓰는 레딧, AI 탑재 후 구글과 정면승부 선언
댓글 0
·
저장 0
2025.05.02 08:59

기사 3줄 요약
- 1 레딧, AI 챗봇으로 구글 검색에 도전장 던져.
- 2 정보 찾는 이용자 겨냥, 구글 의존 탈피 목표.
- 3 외부 검색 노출 전략, 성공 여부 주목.
미국의 거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이 심상치 않습니다. 단순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넘어, 인공지능(AI)을 무기로 정보 검색 시장의 절대 강자 구글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레딧의 미래가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 이용자들을 얼마나 끌어들일 수 있느냐에 달렸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레딧은 이제 단순 커뮤니티 이용자(‘Scrollers’)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 헤매는 사용자(‘Seekers’), 즉 ‘구글 이용자들’을 잡기 위해 AI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스티브 허프먼 레딧 CEO는 이 두 사용자 유형을 명확히 구분하고, 정보에 목마른 ‘정보 탐색가’들을 공략하기 위해 AI 활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의 핵심에는 ‘레딧 앤서스(Reddit Answers)’라는 AI 챗봇이 있습니다. 이 챗봇은 레딧의 방대한 게시글을 학습하고, OpenAI와 구글 클라우드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레딧은 왜 갑자기 AI에 빠졌을까?
사실 레딧의 이런 변화는 갑작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2024년 4분기, 구글 검색 알고리즘 변경으로 레딧의 사용자 증가세가 크게 꺾이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구글이라는 거인의 손짓 하나에 플랫폼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입니다. 허프먼 CEO 역시 개방형 플랫폼으로서 검색 엔진 변화에 따른 트래픽 변동성은 감수해야 하지만, 현재 검색 시장 자체가 "대대적인 공사 중"이라고 표현하며 구글 의존도를 줄여야 할 필요성을 인정한 셈입니다.레딧의 비밀병기, '레딧 앤서스'는 뭐야?
‘레딧 앤서스’는 단순한 실험이 아닙니다. 이미 주간 활성 사용자 수가 1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레딧의 수많은 글 속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찾아 요약해주는 능력에 사용자들이 반응하고 있는 것입니다. 레딧은 앞으로 이 AI 챗봇 기능을 아예 메인 검색창에 넣고, 신규 사용자가 가입할 때부터 자연스럽게 이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사용자 경험을 완전히 바꾸고 참여도를 높이려는 목표입니다.구글 없이도 레딧 정보를? 이게 가능하다고?
레딧의 AI 전략 중 가장 파격적인 것은 ‘앤서스’의 답변을 외부 검색 결과, 예를 들어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 같은 곳에 바로 보여주겠다는 계획입니다. 사용자가 굳이 레딧 사이트에 들어오지 않아도 AI가 요약한 레딧 정보를 볼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전략은 레딧 자체의 방문자 수를 깎아 먹을 위험도 있습니다. 하지만 레딧은 검색을 통해 유입되는 막대한 잠재 사용자들을 끌어들일 기회를 놓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근데 이거, 문제점은 없을까?
물론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AI가 만든 요약 정보가 얼마나 정확하고 믿을 만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AI가 레딧 게시글의 맥락을 잘못 이해하거나 정보를 왜곡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AI가 주는 정답만 소비하게 되면,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고 댓글로 의견을 나누던 레딧 특유의 커뮤니티 문화가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자칫 레딧이 수동적으로 정보만 소비하는 플랫폼으로 변질될 수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레딧의 AI 도박은 온라인 검색과 커뮤니티의 미래를 건 중대한 승부수입니다. AI를 통해 레딧은 단순히 시대에 발맞추는 것을 넘어, 차세대 온라인 정보 탐색 시장의 주도권을 잡으려 하고 있습니다. 과연 레딧이 고유한 매력을 잃지 않으면서 ‘구글 이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분명한 것은, AI가 온라인 정보와 커뮤니티의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앞으로 정보 검색 방식이 또 어떻게 바뀔지 흥미롭게 지켜볼 대목입니다.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1레딧의 AI 도전, 구글 검색 이길 수 있을까?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