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공습에도 네이버 검색 11.9% 성장, 비밀은?
댓글 0
·
저장 0
2025.05.09 18:12

기사 3줄 요약
- 1 네이버 검색, 챗GPT 위협 속 견고한 성장세
- 2 AI 전략과 투자,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 3 서치플랫폼 매출 11.9%↑, AI 사업 성과 입증
최근 챗GPT 같은 인공지능(AI) 챗봇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네이버는 검색 시장에서 여전히 굳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순한 운이 아니라, 네이버만의 특별한 AI 전략과 과감한 투자가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이제 네이버는 국내 검색 시장의 왕좌를 넘어, AI 시대를 이끌어가는 기업으로 빠르게 변신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AI 기술 투자와 서비스 혁신을 멈추지 않고, AI 시대의 경쟁에서 앞서나가며 사용자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네이버의 AI가 만들어갈 미래가 더욱 기대됩니다.
챗GPT 광풍에도 네이버는 왜 멀쩡할까?
네이버는 단순히 정보를 찾아주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더 깊이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말 서울 근교 여행’을 검색하면, 블로그 후기부터 추천 코스, 교통편, 숙소 예약까지 한 번에 보여줍니다. 챗GPT가 똑똑한 비서라면, 네이버는 나만을 위한 맞춤형 여행 가이드인 셈입니다. 사용자 개개인의 관심사를 분석해 맞춤형 검색 결과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네이버의 강점입니다. 최근에는 짧은 동영상 서비스인 ‘클립’이나 가게 정보를 알려주는 ‘플레이스’ 리뷰를 AI로 똑똑하게 연결해 사용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기업들도 네이버 AI에 줄 선다?
네이버는 개인 사용자뿐 아니라 기업들을 위한 AI 사업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금융, 공공기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네이버의 AI 기술을 찾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는 AI로 금융 시장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는 원자력 발전소에 특화된 AI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실제로 한수원은 네이버 AI 플랫폼 덕분에 원전 관련 데이터 분석 시간을 30%나 줄이고, 위험 상황 예측 정확도는 20%나 높이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단순 기술 제공을 넘어, 기업의 업무 효율을 실제로 높여주고 있는 것입니다."네이버에 AI를 심다", 최수연 대표의 승부수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On-service AI’라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에 AI 기술을 깊숙이 심어 사용자 경험을 완전히 새롭게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검색, 쇼핑, 플레이스 등 핵심 서비스에 AI가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정보를 찾고 똑똑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됩니다. 네이버 쇼핑의 AI 기반 상품 추천 기능은 사용자의 클릭률을 15%나 높였고,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도 10% 증가시켰습니다. AI가 사용자의 마음을 제대로 읽고 있다는 증거입니다.네이버 AI, 앞으로 더 강해질까?
물론 네이버 앞에는 챗GPT뿐 아니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거대 IT 기업들과의 치열한 AI 경쟁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한국어 데이터와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가장 잘 맞는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AI 비서 같은 ‘AI 에이전트’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더 편리한 맞춤 서비스를, 기업에게는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할 계획입니다.숫자로 증명된 네이버 AI의 힘
네이버의 AI 기술 투자는 이미 빛을 보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네이버의 검색 사업(서치플랫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9% 증가한 1조 12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AI 기술이 광고 효율을 높이고 검색 품질을 개선하면서 실제 돈을 버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입니다.구분 | 2025년 1분기 매출 (억원)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
---|---|---|
서치플랫폼 | 1조 127 | 11.9 |
커머스 | 7879 | 12.0 |
핀테크 | 3927 | 11.0 |
콘텐츠 | 4593 | 2.9 |
엔터프라이즈 | 1342 | 14.7 |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네이버, AI 시대에도 살아남을까?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