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챗GPT가 전부 아냐!" 4조 CEO의 일침, AI 진짜 핵심은 따로 있다?

댓글 0 · 저장 0 2025.05.11 18:07
"챗GPT가 전부 아냐!" 4조 CEO의 일침, AI 진짜 핵심은 따로 있다?

기사 3줄 요약

  • 1 SAS CEO, 금융 문제 해결책으로 전통 AI 강조
  • 2 챗GPT 열풍 속, AI 핵심은 데이터 품질이라 역설
  • 3 SAS, 데이터 분석·의사결정 최적화 AI에 집중
요즘 어딜 가나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이야기뿐입니다. 그런데 세계적인 데이터 분석 기업 SAS의 짐 굿나잇 CEO는 조금 다른 목소리를 냈습니다. 그는 금융 분야의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열쇠는 오히려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AI 기술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AI의 진짜 핵심은 화려한 기술 자체가 아니라, 그 기술을 만드는 '데이터'의 품질에 있다는 것입니다.

챗GPT 시대에 왜 전통 AI?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가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굿나잇 CEO는 이런 분위기에 신중한 입장입니다. 그는 AI 모델 자체보다, 그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이터가 훨씬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데이터가 얼마나 좋고,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는지가 AI의 성능과 믿을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그는 거대 언어 모델(LLM)이 코드를 만드는 능력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숙련된 개발자만큼은 아니라고 평가했습니다.

SAS는 뭘 하고 있길래?

그래서 SAS는 직접 거대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경쟁에 뛰어들기보다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략의 하나로, SAS는 '헤이지(Hazy)'라는 합성 데이터 전문 기업을 인수했습니다. 합성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의 특징은 그대로 가지면서도 개인 정보는 지켜주는 가짜 데이터인데, 병원 기록이나 금융 정보처럼 민감한 데이터를 다룰 때 아주 유용합니다. SAS는 이를 통해 개인 정보 보호 규정을 지키면서 AI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구분내용기대 효과
합성 데이터실제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개인 정보는 보호하는 가상 데이터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 개인 정보 보호 규제 준수, AI 모델 개발 및 분석 역량 강화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객체나 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동일하게 구현다양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및 분석, 의사결정 정확성 향상, 예측 및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

게임 회사랑 손잡은 AI 기업?

SAS의 도전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유명 게임 '포트나이트'를 만든 에픽게임즈와 손잡고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분석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물건이나 시스템을 컴퓨터 안에 똑같이 만들어 놓은 가상 모델을 말합니다. 이걸 이용하면 실제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일들을 미리 시뮬레이션해보고 분석해서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AI, 진짜 중요한 건 뭐야?

짐 굿나잇 CEO의 이야기와 SAS의 행보는 AI 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중요한 생각을 던져줍니다. 무조건 새로운 생성형 AI만 따라가기보다, 데이터의 중요성을 알고 전통적인 AI 기술의 힘을 다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AI의 진짜 가치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를 잘 활용해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좋은 미래를 만드는 데 있다는 것을 SAS는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챗GPT보다 전통 AI가 더 중요한가?

댓글 0

관련 기사

최신 기사

사용자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