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글쓰는 AI는 거북이?” 코딩 AI만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소름 돋는 이유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0.13 19:00
“글쓰는 AI는 거북이?” 코딩 AI만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소름 돋는 이유

기사 3줄 요약

  • 1 AI 코딩, 글쓰기 AI보다 훨씬 빠른 발전 속도 보여
  • 2 정답 있는 코딩, AI ‘강화학습’에 유리해 격차 발생
  • 3 개발자 등 정량화 가능한 직업 대체 가속화 전망
최근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코딩 능력의 발전 속도가 글쓰기 능력을 압도적으로 앞지르고 있습니다. ‘강화 격차’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AI의 특별한 학습 방식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2026년 말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안 간다”고 말하며 AI 코딩 기술의 엄청난 발전을 예고했습니다. 불과 몇 개월 만에 AI 코딩 기술은 눈부시게 성장했지만, 문서 작성 같은 다른 기능의 발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입니다.

코딩 AI는 어떻게 혼자 똑똑해질까?

이러한 속도 차이의 비밀은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라는 기술에 있습니다. 강화 학습은 AI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반복하며 스스로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는 훈련 방식입니다. AI에게 잘하면 상을 주고 못하면 벌을 주는 방식으로 똑똑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코딩은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아닌지 명확한 정답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AI가 코드를 짠 뒤 곧바로 결과를 확인하고 스스로 수십억 번의 테스트를 거쳐 실력을 키우기에 완벽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많은 AI 기업들이 지난 6개월간 이 방식으로 코딩과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럼 글쓰기 AI는 왜 발전이 더딜까?

반면 글쓰기는 명확한 정답이 없습니다. 좋은 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시의 아름다움이나 소설의 감동을 점수로 매길 수 없듯이, AI가 쓴 글이 정답인지 아닌지 가려내기 어렵습니다. 이처럼 객관적인 평가 지표가 없기 때문에 글쓰기 AI는 강화 학습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힘듭니다. 이것이 바로 코딩 AI에 비해 글쓰기 AI의 발전이 더딘 이유, 즉 ‘강화 격차’의 핵심입니다. 물론 AI가 짠 코드도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런 문제 해결 과정조차 AI를 훈련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속도 차이가 우리 삶에 미칠 영향은?

강화 격차 현상은 우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코딩처럼 AI 성능이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그만큼 인간의 일자리를 더 빨리 대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의료 진단처럼 정답을 가릴 수 있는 분야에서 AI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됩니다. 앞으로 AI의 응답을 정확히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AI 성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전망입니다.
편집자 프로필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AI가 코딩 직업을 5년 내 대체할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