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정책/윤리

“AI가 국가고시 채점한다?” 헌법재판소까지 AI 도입, 공공서비스 대변혁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7.25 16:16
“AI가 국가고시 채점한다?” 헌법재판소까지 AI 도입, 공공서비스 대변혁

기사 3줄 요약

  • 1 정부, AI로 공공서비스 혁신하는 대규모 사업 착수
  • 2 헌법재판소, 국가시험 채점 등에 AI 우선 도입 예정
  • 3 업무 효율 높여 국민 편익 대폭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
정부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공공서비스를 확 바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답답했던 민원 처리나 오래 걸리던 재판,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시험 채점 방식이 AI 기술로 크게 달라질 전망입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헌법재판소 등 주요 국가기관의 업무 방식을 AI로 혁신하는 대규모 컨설팅에 착수했습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뭐가 바뀌는데?

이번 계획의 핵심은 3개 기관의 변화입니다. 먼저 헌법재판소는 AI를 활용해 재판 준비 시간을 크게 줄입니다. AI가 복잡한 사건 내용을 짧게 요약해주고, 참고할 만한 과거 판결을 순식간에 찾아주는 식입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AI로 인권 관련 데이터를 정리하고 사건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듭니다. 이를 통해 인권 침해 사건에 더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일어납니다. 사람이 하던 국가자격시험 채점을 AI가 대신 맡게 됩니다. 특히 컴퓨터 기반 시험(CBT)이 늘면서 AI 채점 시스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이게 왜 좋은 건데?

AI 도입으로 공공서비스의 효율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헌법재판소는 사건 처리 시간이 약 20% 줄고, 국가자격시험 채점 시간은 무려 40%나 단축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는 AI에게 맡기고, 사람은 더 중요하고 창의적인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국민들은 더 빠르고 정확한 공공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길었던 민원 처리 대기 시간이나 재판 기간이 줄어드는 등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긍정적 변화가 예상됩니다.

혹시 부작용은 없을까?

물론 AI가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만능은 아닙니다. AI가 학습한 데이터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공정한 결과를 낳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도 존재합니다. 이에 정부와 NIA는 AI 시스템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작동하는지 철저히 관리하고 감독할 계획입니다. 기관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예방하는 장치도 마련합니다. AI 기술의 혜택은 극대화하되, 부작용은 최소화하여 국민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지능형 정부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국가고시 채점을 AI에 맡겨도 될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