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반값 AI 등장” 중국이 AI 시장 판도를 뒤엎나?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0.01 07:52

기사 3줄 요약
- 1 중국 딥시크, AI 연산 비용 줄이는 신기술 공개
- 2 기존 대비 API 이용료 50% 파격 인하 선언
- 3 OpenAI의 ChatGPT 독주 체제에 강력한 도전
인공지능(AI) 시장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의 AI 기업 딥시크(DeepSeek)가 AI 연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서비스 이용료를 무려 50%나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혀, OpenAI의 ChatGPT가 주도하는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AI가 얼마나 똑똑해졌다는 거야?
AI가 긴 글을 이해하고 답변을 생성할 때 ‘어텐션(attention)’이라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는 글 속의 수많은 단어 중 어떤 단어들이 서로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파악하는 과정과 같습니다. 마치 우리가 책을 읽을 때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긋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기존 방식은 모든 단어와 다른 모든 단어의 관계를 일일이 계산해야 했습니다. 이 때문에 대화가 길어질수록 계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AI가 느려지고 비용도 비싸지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습니다.비용을 절반으로 줄인 비결이 뭔데?
딥시크가 개발한 ‘희소 어텐션(Sparse Attention)’ 기술은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모든 단어의 관계를 계산하는 대신, AI가 스스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핵심적인 연결고리만 골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딥시크에 따르면 이 기술 덕분에 연산에 필요한 자원을 크게 아낄 수 있었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자사 서비스 이용료(API)를 즉시 50% 인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술의 효율성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중국 회사라는데, 믿을 수 있을까?
물론 딥시크가 발표한 성능과 비용 절감 효과는 아직 외부 기관의 객관적인 검증을 거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딥시크는 이전에도 적은 비용으로 OpenAI에 버금가는 성능의 AI를 개발하고, 자사의 채팅 앱을 앱스토어 1위에 올리며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특히 이번 신기술의 핵심 소스 코드와 데이터를 모두에게 공개하는 ‘오픈소스’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자신들의 기술을 검토하고 활용하도록 해, AI 기술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키우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AI 시장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경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중국 AI 기술이 미국을 추월할까?
그렇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