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통장 텅 비기 전에 꼭 보세요” 메신저 사기 막는 AI 경고등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0.22 00:52

기사 3줄 요약
- 1 메타, 왓츠앱·메신저에 노년층 대상 사기 방지 기능 도입
- 2 AI가 의심스러운 메시지 감지하고 화면 공유 시 경고 알림
- 3 2025년 상반기 800만 개 사기 계정 차단 등 강력 대응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가 온라인 사기로부터 우리 부모님 세대를 지키기 위해 칼을 빼 들었습니다.
메타는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메신저 앱인 왓츠앱과 메신저에 새로운 사기 탐지 기능을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을 노리는 범죄를 막는 것이 핵심 목표입니다.
그래서 뭐가 달라지는데?
이제 왓츠앱에서 모르는 사람과 영상 통화를 하다가 ‘화면 공유’ 버튼을 누르면 경고창이 나타납니다. 화면 공유는 사기꾼들이 은행 정보나 비밀번호 같은 개인 정보를 빼내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법입니다. 메신저 앱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됩니다. AI가 의심스러운 메시지를 스스로 분석해서 “돈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와 같은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줍니다. 재택근무나 쉬운 돈벌이를 미끼로 한 사기 유형을 알려주고, 해당 계정을 차단하거나 신고하는 기능도 안내합니다.사기꾼들, 얼마나 심각하길래?
메타가 이렇게 나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메타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에만 무려 800만 개에 달하는 사기 관련 계정을 적발하고 차단했습니다. 또한, 고객 지원팀을 사칭하며 정보를 빼내려던 2만 1,000개 이상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계정도 삭제 조치했습니다. 이들은 주로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 거점을 둔 조직적인 범죄 집단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근데 왜 이제 와서? 늦은 거 아냐?
사실 이런 사기 수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사기꾼들은 외로움을 느끼거나 온라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의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들어 평생 모은 재산을 가로채곤 합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메타의 대응이 너무 늦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간단한 경고 시스템만이라도 일찍 도입했다면 수많은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메타는 앞으로 미국 ‘전국 노인 사기 대응 센터’와 협력하는 등 사기 범죄와의 전쟁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사기 방지 기능, 효과 있을까?
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없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