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들 뒷목 잡는다” AI 코딩의 함정, 82억 받고 해결책 나왔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0.22 22:52
기사 3줄 요약
- 1 AI 코딩의 숨은 문제점, '배포와 관리' 난관 봉착
- 2 스타트업 '셔틀', 82억 원 투자 유치하며 해결사로 등장
- 3 AI가 코드 작성부터 배포까지 전 과정 책임지는 시대 예고
아이디어만 말하면 인공지능(AI)이 알아서 코드를 짜주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하지만 코드를 만드는 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정작 완성된 프로그램을 세상에 내놓고 관리하는 과정이 개발자들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AI 코딩의 숨은 골칫거리를 해결해 줄 스타트업 ‘셔틀(Shuttle)’이 약 82억 원(6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해결사로 나섰습니다.
바이브 코딩, 대체 뭐길래?
‘바이브 코딩’은 말 그대로 ‘분위기’나 ‘느낌’만 AI에 전달하면 코드를 만들어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전 OpenAI 연구원이었던 안드레이 카르파티가 처음 사용한 용어입니다. 덕분에 코딩을 잘 모르는 사람도 아이디어만으로 앱을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하지만 AI가 만든 코드를 실제 서비스로 연결하고 꾸준히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여전히 복잡한 숙제로 남았습니다.82억 원짜리 해결사, 셔틀은 뭘까?
셔틀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AI가 생성한 코드를 넘겨받아, 가장 좋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세상에 공개(배포)하는 모든 과정을 대신 처리해 줍니다. 사용자는 마치 AI 비서에게 대화하듯 “이 프로그램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줘”라고 말하기만 하면 됩니다. 셔틀이 알아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연결하고 비용까지 계산해 보여줍니다. 전 깃허브(GitHub) CEO와 같은 유명 투자자들이 돈을 넣은 만큼, 그 기술력과 가능성을 인정받은 셈입니다.모든 언어의 벽을 허무는 게 목표
셔틀은 원래 ‘러스트(Rust)’라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든 앱을 배포하는 데 강점을 보였습니다. 이미 2만 명의 개발자가 셔틀을 사용하며 그 편리함을 입증했습니다. 셔틀의 노다르 다넬리야 CEO에 따르면 AI가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그는 이번 투자를 발판 삼아 모든 언어와 AI 코딩 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진짜 ‘생각대로’ 앱 만드는 시대 열릴까?
셔틀의 등장은 AI가 단순히 코드 작성 도구를 넘어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과정을 돕는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개발자들은 이제 복잡한 인프라 걱정 없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데만 집중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생각만으로 앱을 만들고 전 세계에 선보이는 시대가 한 걸음 더 가까워졌습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코딩이 개발자 직업을 대체할까?
그렇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