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AI 뒤처지나? 글로벌 96% 도입 의향 vs 한국 32%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4.21 15:03

기사 3줄 요약
- 1 전 세계 AI 도입 열풍, 한국은 온도차 뚜렷.
- 2 개인정보, 비용, 인력 문제로 한국 기업 주저.
- 3 한국, 고객 혁신보다 내부 효율화에 AI 집중.
전 세계가 인공지능(AI) 비서, 즉 'AI 에이전트' 도입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무려 96%의 글로벌 IT 리더들이 앞으로 AI 에이전트 사용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한국 기업들은 단 32%만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왜 한국만 이렇게 AI 도입에 소극적인 걸까요? 이러다 정말 AI 시대의 '갈라파고스'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글로벌 IT 컨설팅 기업 클루데라(Cloudera)의 최근 설문 조사 결과는 이런 온도 차이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지난 2년간 전 세계 기업 57%가 이미 AI 에이전트를 도입했고, 특히 작년에만 21%가 새로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IT 리더들은 AI 도입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한국은 뛰어난 기술력과 디지털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AI 혁명을 이끌 잠재력이 충분합니다. 하지만 엄격한 규제, 사회 문화적 특성, 조직 내부의 문제들이 얽혀 AI 도입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혁신을 장려하면서도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한국은 기술 부족이 아닌 스스로 만든 한계 때문에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지는 안타까운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습니다.
왜 한국만 AI 도입에 소극적일까?
한국 기업들이 AI 에이전트 도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개인정보보호' 문제(42%)였습니다. 그다음으로는 '비싼 도입 비용'(33%)과 '전문 인력 부족'(28%)을 꼽았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 기업 응답자 95%도 AI 에이전트가 산업 경쟁력 유지에 중요하다고 인정하고, 56%는 생성형 AI 조기 투자의 이점을 안다고 답했다는 것입니다. 알고는 있지만, 선뜻 나서지 못하는 상황인 셈입니다. AI 에이전트를 어디에 쓸 것인지에 대한 생각도 달랐습니다. 세계적으로는 고객 지원(67%), 영업 및 마케팅 개인화(58%), 업무 자동화(46%)에 우선적으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금융 분야의 이상 거래 탐지(33%), 제조업의 불량품 검출(38%), 유통업의 수요 예측(44%), 의료 분야의 환자 모니터링(50%) 등 특정 산업의 위험 관리나 효율성 개선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혁신보다는 내부적인 문제 해결에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발목 잡는 '개인정보' 걱정, 법 때문이라고?
한국 기업들이 유독 개인정보보호를 걱정하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PIPA)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엄격한 수준입니다.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려면 반드시 본인에게 명확한 동의를 받아야 하고, 정해진 목적 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수집해야 합니다. AI 에이전트는 학습과 작동을 위해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 법 규정을 지키기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특히 AI가 스스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예측 불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사용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것' 자체가 어려워집니다. 게다가 개인정보를 해외 서버로 보내는 것(국경 간 데이터 이전)도 규제가 엄격합니다. 정보를 받는 나라가 한국 수준의 정보보호 기준을 갖췄는지 확인해야 하고, 사용자 동의도 따로 받아야 합니다. 외국 기업이 만든 AI 솔루션을 도입하거나 해외 서버를 이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법을 어기면 막대한 벌금과 함께 기업 이미지 손상까지 감수해야 하니,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한국만의 특별한 문화와 조직 문제?
법적인 문제 외에도 한국 사회 특유의 문화와 조직 구조도 AI 도입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 사람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개인정보 유출에 매우 민감합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법 규정 이상으로 투명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다뤄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낍니다. 자칫 데이터 관련 사고라도 터지면,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고 큰 비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제정된 'AI 기본법'이 산업 육성보다는 고위험 AI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어떤 AI가 '고위험'인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하다 보니, 기업들은 잠재적 책임 문제나 규제 준수 부담 때문에 AI 도입을 망설이게 됩니다. 여기에 한국 기업 특유의 상하 관계가 뚜렷한 위계적인 조직 문화도 한몫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면 여러 단계의 보고와 결재를 거쳐야 해서 의사결정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사람 사이의 관계('인화')나 직접 얼굴을 보고 소통하는 것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에, 인간의 업무를 AI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변화보다는 안정을 추구하고 위험을 피하려는 경향도 새로운 기술 도입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요인 | 설명 |
---|---|
엄격한 개인정보보호법 (PIPA) | 명시적 동의, 목적 제한, 최소 수집 원칙 등이 AI 데이터 활용을 어렵게 함. |
국경 간 데이터 이전 제한 | 해외 AI 솔루션 도입 시 정보 이전 동의 및 상대국 수준 검증 필요. |
개인정보에 민감한 문화 | 데이터 유출 시 사회적 비난과 신뢰도 하락 우려가 큼. |
AI 규제 불확실성 | 세부 지침 부족으로 기업들이 잠재적 책임 및 규제 준수 부담 느낌. |
위계적 조직 구조 | 상명하복식 의사결정 구조가 신기술 도입 속도를 늦춤. |
인간관계 중시 문화 | 대면 소통 선호로 AI가 인간 업무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존재 가능. |
위험 회피 성향 | 검증된 방식 선호, 잠재적 위험 있는 신기술 도입에 소극적. |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도입 지연, 신중함인가 뒤처짐인가?
신중함
0%
0명이 투표했어요
뒤처짐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