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갤S25 기대↑, 근데 사용자 87% "AI 쓸모없다"? 삼성 딜레마

댓글 3 · 저장 0 2025.04.30 09:59
갤S25 기대↑, 근데 사용자 87% "AI 쓸모없다"? 삼성 딜레마

기사 3줄 요약

  • 1 삼성전자, 2025년 AI·프리미엄 앞세워 반등 노려
  • 2 1분기 실적 호조 속, HBM 경쟁·AI 실효성 과제 부상
  • 3 갤럭시 S25 등 신제품 성공 여부가 향후 실적 좌우
삼성전자가 2025년 회사의 명운을 걸고 'AI 올인'을 선언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만 79조 원을 벌어들이며 일단 출발은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야심차게 내놓는 AI 기능에 대해 삼성 사용자 10명 중 9명 가까이가 "별로 쓸모없다"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까지 나왔습니다. 삼성의 AI 승부수,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삼성의 2025년 청사진, AI와 프리미엄에 올인?

삼성은 2025년 반등을 위해 AI 기술과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하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AI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HBM3E 12단 같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생산을 늘리고, 8세대 V낸드 기술로 원가 경쟁력도 높일 계획입니다. 단순히 부품만 잘 만드는 게 아니라, 완제품에서도 승부를 보겠다는 의지입니다. 곧 출시될 갤럭시 S25 엣지 스마트폰과 새로운 AI TV 라인업이 대표적입니다. 이런 프리미엄 제품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더 비싼 가격에 팔아 수익성을 개선하겠다는 계산입니다. 또한, AI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폴더블폰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고화질 게이밍 모니터나 하만 오디오 제품, 비스포크 AI 가전 등으로 전방위적인 공세를 펼칠 예정입니다.

겉은 웃지만 속은? 1분기 실적과 숨겨진 과제

일단 올해 1분기 성적표는 나쁘지 않습니다. 매출 79조 원, 영업이익 6조 6천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씩 늘었습니다. 반도체 사업이 다시 흑자로 돌아선 덕분입니다. 하지만 안심하기엔 이릅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고, 미국의 수출 통제 같은 변수도 남아있습니다. 게다가 갤럭시 S25 시리즈 같은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대대적인 마케팅 비용이 들어갈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영업이익을 갉아먹을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이는 실적 성장세와 달리, 내부적으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은 셈입니다.

"AI, 그래서 쓸모 있나?"… 사용자는 냉담한데?

가장 큰 고민거리는 바로 AI입니다. 삼성은 'AI 가전', 'AI 폰'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사용자들은 AI 기능에 대해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삼성 스마트폰 사용자 중 무려 87%가 AI 기능이 자신의 일상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아이폰 사용자(73%)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갤럭시 S25 엣지는 출시 6개월 만에 1000만 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런 AI 회의론은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신기한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들이 정말 필요로 하고 편리하다고 느낄 만한 AI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현재 삼성 AI 기술이 보여주는 능력의 한계와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도 넘어야 할 산입니다.

전문가들은 어떻게 볼까?

전문가들의 시선은 기대와 우려가 엇갈립니다. 일부 분석가들은 AI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와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호조로 삼성이 2025년에 12%가량 매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합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현재의 AI 열풍이 거품일 수 있으며, 삼성이 사용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한 실질적인 AI 가치를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결국 삼성의 2025년 성패는 단순히 기술 개발 능력에만 달린 것이 아닙니다. 시장의 변화를 정확히 읽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파악하며, 약속한 것을 제대로 만들어내는 실행력이 중요합니다. AI라는 거대한 파도 속에서 삼성이 과연 성공적인 항해를 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한 줄로 요약하면, "AI 마케팅보다 진짜 쓸모있는 AI를 만들어야 살아남는다"가 되겠습니다.
전략 집중 분야 기대 효과 측정 지표
메모리 제품 고부가가치 제품 (HBM3E 12단, 128GB DDR5), 8세대 V낸드 AI 서버 시장 경쟁력 강화, 원가 효율 개선, 고성능 메모리 시장 점유율 증가 2025년 4분기까지 HBM 시장 점유율 15% 증가, 8세대 V낸드 전환으로 생산 비용 10% 절감
소비자 제품 갤럭시 S25 엣지, 프리미엄 기능 탑재 신규 AI TV 모델 브랜드 이미지 제고, 평균 판매 단가 상승, 주력 기기 매출 증대, 프리미엄 스마트폰 및 TV 시장 지위 강화 갤럭시 S25 엣지 출시 첫 6개월 내 1,000만 대 판매 달성, 프리미엄 AI 모델로 TV 평균 판매 단가 8% 증가
디바이스 경험 최적화된 AI 기능 탑재 신규 폴더블 제품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폴더블 기기 시장 확대, 고객 충성도 증대, 혁신 모바일 기술 선도 지위 확보 폴더블 기기 판매량 전년 대비 20% 성장, 폴더블 기기 순추천고객지수(NPS) 70 달성
디스플레이 기술 폴더블 디스플레이 안정적 공급, 초고주사율 모니터 게이밍 시장 점유율 확보, 디스플레이 기술 리더십 유지, 주요 기기 제조사와의 파트너십 확보 게이밍 모니터 시장 점유율 12% 증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불량률 0.5% 미만 유지
오디오 제품 (하만) 휴대용 오디오 및 헤드셋 제품 판매 확대 오디오 부문 매출 기여도 증대, 하만 브랜드를 활용한 프리미엄 오디오 경험 제공, 신규 오디오 제품 카테고리 확장 오디오 제품 매출 전년 대비 15% 성장, 20개 신규 국가로 유통망 확장
가전 제품 비스포크 AI 제품, 사업 구조 개선 AI 가전 시장 리더십 강화, 맞춤형 경험 제공으로 고객 만족도 증대, 운영 효율성 개선 비스포크 AI 가전 판매량 18% 증가, AI 기반 진단을 통한 고객 서비스 비용 7% 절감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2

삼성의 AI 기능, 정말 필요한가?

댓글 3

13일 전

필요하다에 한표

13일 전

ai가 미래니까 필요 할것같아요

13일 전

뽐뿌겁나오는데

관련 기사

최신 기사

사용자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