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직원들 전부 실직하나?” 21개월 만에 1300억 번 AI 등장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1.22 08:33
기사 3줄 요약
- 1 AI 스타트업 시에라, 21개월 만에 연 매출 1300억 돌파
- 2 전 구글·세일즈포스 CEO가 만든 기업용 고객 서비스 AI
- 3 기업가치 13조 원 평가, AI 고객 서비스 시대 본격화
구글맵과 페이스북 ‘좋아요’ 버튼을 만든 개발자가 세운 인공지능(AI) 회사가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설립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1년에 꾸준히 버는 돈이 1300억 원(1억 달러)을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이 회사의 이름은 ‘시에라’로, 기업의 고객 서비스 업무를 대신하는 AI를 만듭니다.
도대체 뭐 하는 회사인데?
시에라는 기업 고객센터의 일을 대신 처리해 주는 AI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예를 들어, 병원 환자의 본인 인증을 돕거나, 쇼핑몰의 반품을 처리하고, 신용카드 재발급, 주택 대출 신청 같은 복잡한 일들을 사람 대신 AI가 처리합니다. 이미 배달 앱 딜리버루, 음성 채팅 서비스 디스코드 같은 유명 기술 기업뿐만 아니라, 보안업체 ADT, 신발 브랜드 반스 등 전통적인 대기업들도 시에라의 A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창업자들은 기술 기업들은 쉽게 적응할 줄 알았지만, 오래된 일반 기업들까지 고객이 된 것에 크게 놀랐다고 밝혔습니다.뭐가 그렇게 특별한데?
시에라의 가장 큰 특징은 독특한 요금 방식입니다. 보통의 AI 서비스처럼 매달 고정된 구독료를 내는 것이 아닙니다. 시에라의 AI가 고객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했을 때만’ 돈을 받습니다. 만약 AI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결국 사람 상담원에게 일이 넘어가면, 요금을 청구하지 않습니다. 이런 ‘성과 기반 과금’ 방식 덕분에 기업들은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시에라는 AI의 성능을 계속해서 높여야만 돈을 벌 수 있는 구조입니다.앞으로 시장은 어떻게 될까?
시에라의 눈부신 성공은 AI가 고객 서비스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경쟁도 만만치 않습니다. 데카곤, 인터콤 같은 다른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고, 세일즈포스나 구글 같은 거대 기업들도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시에라의 기업 가치가 13조 원(1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은 과도한 거품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AI가 단순히 사람의 일자리를 뺏기보다, 인간과 AI가 협력해 더 효율적으로 일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가 콜센터 직원 일자리를 위협하나?
위협한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