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챗GPT 독점? NO!" 5배 더 쓰는 국산 AI앱 등장, 판 흔들까?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5.12 15:02
"챗GPT 독점? NO!" 5배 더 쓰는 국산 AI앱 등장, 판 흔들까?

기사 3줄 요약

  • 1 챗GPT, 국내 AI 앱 시장서 1750만 MAU로 독주
  • 2 뤼튼 등 경쟁 앱, 특화 기능으로 사용자 확보 경쟁 치열
  • 3 국내 사용자 48% AI 앱 사용, 시장 성장 지속 전망
AI 앱 시장, 챗GPT가 다 먹은 줄 알았죠? 그런데 반전이 숨어있습니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아는 판도가 뒤집힐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국내 AI 앱 사용자 수가 175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챗GPT의 인기는 하늘을 찌르지만, 그 뒤를 바짝 쫓는 도전자들의 기세도 만만치 않습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챗GPT는 우리나라에서 한 달에 무려 1750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체 AI 앱 사용자 중 약 72.6%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그야말로 AI 앱 시장의 ‘대장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챗GPT가 시장을 이끌면서, 우리나라 휴대폰 사용자 중 거의 절반(약 48%)이 AI 앱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AI를 일상에서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뜻이겠죠.

챗GPT, 정말 혼자 다 해먹나?

챗GPT의 인기는 정말 대단합니다. 2025년 3월에 509만 명이었던 월간 사용자 수(MAU,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앱을 쓴 사람 수)는 4월에 1750만 명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한 달 만에 천만 명이 넘는 새로운 사용자가 생긴 셈입니다. 이렇게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은 챗GPT가 처음이라고 하네요. 이처럼 챗GPT가 새로운 사용자들을 끌어모으면서 전체 AI 앱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시장 상황이 언제까지나 챗GPT의 독무대가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왜냐하면 다른 AI 앱들의 추격도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토종 AI의 반격, "우리도 있다!"

챗GPT가 시장을 꽉 잡고 있는 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경쟁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만든 AI 앱들의 활약이 눈에 띕니다. 예를 들어 ‘뤼튼’이라는 앱은 AI 글쓰기 기능을 강화해서 사용자들이 앱에 머무는 시간을 크게 늘렸습니다. 뤼튼 사용자의 한 사람당 평균 사용 시간은 무려 305분으로, 챗GPT의 5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사용자 수에서는 밀릴지 몰라도, 한 번 사용하면 오래도록 붙잡아두는 매력이 있다는 뜻이겠죠. SK텔레콤의 ‘에이닷’은 통신 서비스와 결합해 편리함을 무기로 사용자들을 모으고 있고, ‘퍼플렉시티’는 검색 기능에 특화된 AI 앱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AI 앱, 이제 선택 아닌 필수?

현재 우리나라 휴대폰 사용자의 절반 가까이가 AI 앱을 쓰고 있다는 사실은 AI가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런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챗GPT가 새로운 사용자들을 AI의 세계로 이끌고 있다면, 다른 경쟁 앱들은 특정 기능에 집중하거나 기존 서비스와 힘을 합쳐 자신만의 영역을 만들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기준으로 보면, 챗GPT 다음으로는 에이닷(155만 명), 뤼튼(85만 명), 딥시크(40만 명) 순으로 사용자가 많았습니다. 아직 챗GPT와 격차가 크긴 하지만, 각자의 강점을 살려 열심히 따라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다음 왕은 누구?

앞으로 AI 앱 시장의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사용자들은 더 똑똑하고 편리한 기능을 원할 것이고, 기업들은 이런 요구에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결국 사용자에게 얼마나 좋은 경험을 주느냐가 생존과 성장을 가르는 핵심이 될 것입니다. 또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규제가 풀리고, AI 전문가들이 많이 키워진다면 우리나라 AI 앱 시장은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챗GPT가 지금은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경쟁자들의 도전과 사용자들의 변화하는 취향에 따라 언제든 시장 판도가 바뀔 수 있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만큼 더욱 흥미진진한 AI 앱 시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편집자 프로필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국산 AI앱, 챗GPT 이길 수 있을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