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결국 돈독 올랐나?" 챗GPT에 광고 붙여 돈 벌 궁리 중인 샘 알트먼

댓글 1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8.14 23:41
"결국 돈독 올랐나?" 챗GPT에 광고 붙여 돈 벌 궁리 중인 샘 알트먼

기사 3줄 요약

  • 1 OpenAI, 챗GPT 유료 구독 외 광고 도입 검토
  • 2 막대한 수입에도 계속되는 적자, 수익 모델 고심
  • 3 CEO 샘 알트먼, 과거 발언 뒤집고 광고 가능성 열어둬
전 세계 7억 명이 사용하는 챗GPT에 광고가 붙을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챗GPT 책임자인 닉 털리는 광고 도입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AI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는 ‘인류를 위한 AI’를 외치던 OpenAI의 기존 행보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샘 알트먼 CEO 역시 과거에는 광고 도입에 부정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적으로 반대하지는 않는다”며 입장을 바꾸는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광고 진짜 붙이는 거야?

최근 닉 털리 챗GPT 책임자는 한 인터뷰에서 광고 도입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그는 광고를 붙이더라도 “매우 신중하고 세련된 방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샘 알트먼 CEO의 생각 변화와도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그는 지난해만 해도 AI와 광고의 결합을 “유독 불안하다”며 “최후의 수단”이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입장을 바꿔 광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돈이 없나? 왜 갑자기 광고 이야기를?

블룸버그에 따르면, OpenAI의 올해 예상 수입은 127억 달러(약 17조 원)에 달합니다. 이는 작년 37억 달러에서 3배 이상 급증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회사는 벌어들이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아 여전히 적자 상태입니다. 2029년이 되어서야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어, 새로운 수익 모델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현재 7억 명의 사용자 중 유료 구독자는 2천만 명에 불과합니다.

광고 말고 다른 방법은 없어?

OpenAI는 광고 외에 다른 수익 모델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챗GPT가 대화 중 상품을 추천하고 판매 수수료를 받는 ‘챗GPT 커머스’입니다. 물론 이 경우, AI 추천의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닉 털리는 “AI가 어떤 간섭도 없이 독립적으로 제품을 선택하는 마법 같은 경험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OpenAI가 어떤 방식으로 수익과 사용자 경험 사이의 균형을 맞출지 주목됩니다.
광고 형식설명잠재적 영향
네이티브 광고챗GPT 답변 스타일과 유사하게 디자인된 광고눈에 덜 거슬리지만, 집중을 방해할 수 있음
스폰서 콘텐츠사용자 질문과 관련된 광고주의 정보성 콘텐츠유용할 수 있지만, 마케팅 느낌을 줄 수 있음
제품 추천대화 내용과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 노출공정하다면 도움 되지만, 돈 받고 추천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음
편집자 프로필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1

챗GPT에 광고 도입, 필요악인가?

댓글 1

11시간 전

오우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