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농부들 평생 속고 살았다?” 0.01%만 보던 농사, AI가 판 뒤집어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9.04 02:43
“농부들 평생 속고 살았다?” 0.01%만 보던 농사, AI가 판 뒤집어

기사 3줄 요약

  • 1 농업 AI 스타트업, 300억 원 대규모 투자 유치 성공
  • 2 AI 카메라로 과일 상태 정밀 분석, ‘눈대중 농사’ 시대 끝
  • 3 농업 생산성 극대화로 미래 식량 문제 해결 기대감 상승
미국 대형 농장들이 수십 년간 써오던 방식이 틀렸을지도 모릅니다. 최근 한 스타트업이 농업의 판도를 바꿀 기술을 선보이며 약 300억 원(2,200만 달러)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바로 인공지능(AI) 기술로 농작물을 관리하는 ‘오처드 로보틱스’의 이야기입니다. 오처드 로보틱스는 코넬대를 중퇴하고 ‘천재들의 장학금’으로 불리는 틸 펠로우십에 선정된 찰리 우가 설립했습니다. 그는 거대한 농장들이 전체 작물의 0.01%도 안 되는 샘플만 보고 농사를 결정하는 비효율적인 현실을 바꾸고자 했습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해?

오처드 로보틱스의 기술은 간단하면서도 강력합니다. 트랙터나 농장 차량에 작은 고해상도 카메라를 부착하기만 하면 됩니다. 차량이 밭을 지나가면 카메라는 수백만 장의 사진을 찍어 과일의 크기, 색깔, 건강 상태 등 모든 세부 정보를 기록합니다. 이후 AI가 이 이미지들을 분석해 어떤 나무나 덩굴에 비료가 더 필요한지, 혹은 가지치기가 필요한지 정확히 알려줍니다.

그래서 농부한테 뭐가 좋은데?

이 기술 덕분에 농부들은 더 이상 ‘감’에 의존하지 않아도 됩니다.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꼭 필요한 곳에만 비료나 약품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확량을 거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인력 고용이나 판매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현재 이 기술은 미국의 대형 사과 및 포도 농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블루베리, 체리, 아몬드 등 다양한 작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거야?

오처드 로보틱스의 목표는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넘어섭니다. 찰리 우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장 전체를 관리하는 ‘운영체제(OS)’를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궁극적으로는 AI가 스스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자율 농장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농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미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편집자 프로필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AI 농업 기술, 전통 농부 지혜 대체 가능한가?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