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SK 하이닉스, AI 덕에 삼성 제치나? 1분기 이익 7조 돌파

댓글 0 · 저장 0 2025.04.24 08:53
SK 하이닉스, AI 덕에 삼성 제치나? 1분기 이익 7조 돌파

기사 3줄 요약

  • 1 SK 하이닉스, AI 덕에 1분기 영업익 7.4조 달성
  • 2 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급증이 실적 견인
  • 3 삼성전자 제치고 업계 선두 부상 가능성 주목
AI 시대의 진짜 승자는 따로 있었습니다. 바로 SK 하이닉스 이야기입니다. SK 하이닉스는 2025년 1분기에만 무려 7조 44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둬들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7.8%, 거의 1.6배나 늘어난 엄청난 수치입니다. 이 기세라면 국내 상장 기업 중 최고의 실적을 기록할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AI가 돈을 벌어다 준다"는 말이 현실이 된 셈입니다. 매출 역시 17조 6400억 원으로 41.9% 증가했고, 순이익은 8조 1100억 원으로 323%나 폭증했습니다. SK 하이닉스는 어떻게 이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을까요? 혹시 삼성전자를 정말 뛰어넘는 걸까요?

AI 반도체, 왜 이렇게 잘 나가?

비결은 바로 인공지능(AI)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있습니다. 챗GPT 같은 AI를 학습시키고 운영하려면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데, 여기에 꼭 필요한 부품이 바로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이라는 특수 D램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SK 하이닉스는 이 HBM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엔비디아 같은 큰손 고객들에게 제품을 공급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AI 서버 투자가 늘어나면서 SK 하이닉스의 고부가가치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 수요가 급증했고, 이것이 실적 대박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회사는 앞으로도 AI 시대에 필요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숫자 뒤에 숨겨진 의미는?

증권가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37명의 애널리스트 중 29명이 '매수(Buy)' 의견을 냈고, 5명은 '비중 확대(Overweight)'를 추천했습니다. '보유(Hold)'는 단 3명뿐입니다. 평균 목표 주가는 27만 9천 원 수준이며, 일부 증권사(노무라, 모건 스탠리)는 목표 주가를 30만 원, 27만 원으로 올리며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지표 평균 목표 주가 최고 목표 주가 최저 목표 주가
값 (원) 279,001.97 350,000.00 210,000.00

SK 하이닉스는 꾸준히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보여왔습니다. 2024년 네 분기 연속으로 예상보다 높은 주당 순이익(EPS)을 기록하며 저력을 과시했습니다. 아래 표는 향후 분기 및 연간 실적 예상치입니다.
지표 (원)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2025년 2026년
평균 주당 순이익(EPS) 예상치 6,916.46 8,183.12 37,243.01 45,576.05
평균 매출 예상치 (조 원) 17.24 19.5 84.92 100.09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고?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위험 요인도 존재합니다. 첫째,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원래 경기를 많이 타는 편이라 수요와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PC나 스마트폰 판매가 줄면 메모리 수요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둘째, 삼성전자나 마이크론 같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있고, 최근에는 중국 기업들의 추격도 거셉니다. 경쟁이 심해지면 가격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셋째,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같은 지정학적 문제나 관세 부과는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입니다. 넷째, 스마트폰, PC 제조사들의 재고 조정에 따라 주문량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각에서는 SK 하이닉스의 HBM 설비 투자가 경쟁사보다 보수적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만약 HBM 수요가 예상보다 더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공급 부족으로 시장 점유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 SK 하이닉스 주식에 대한 공매도(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가 늘어난 것도 이런 우려를 일부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전망은?

이런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SK 하이닉스는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HBM 매출은 2024년보다 2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며, 이미 내년 판매 물량 주문은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주력 제품인 12단 HBM3E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에게 공급 중이며, 차세대 제품인 HBM4도 2025년 말까지 양산 준비를 마칠 계획입니다. AI 시대가 계속되는 한, 인간의 뇌처럼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메모리 반도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SK 하이닉스가 현재의 기세를 이어가며 삼성전자를 제치고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확실한 1위로 올라설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넘어설까?

댓글 0

관련 기사

최신 기사

사용자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