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데이터 유출 공포 끝났다?" 우리 회사 정보 지키는 AI 등장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6.17 14:31
"데이터 유출 공포 끝났다?" 우리 회사 정보 지키는 AI 등장

기사 3줄 요약

  • 1 EDB, 데이터 지키는 '포스트그레스 AI' 전격 공개
  • 2 회사 정보 유출 없이 내부서 AI 활용, 보안 극대화
  • 3 코딩 몰라도 AI 개발, 기업 맞춤형 서비스 지원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싶어도 데이터 유출 걱정 때문에 망설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제 이런 고민을 덜어줄 만한 새로운 소식이 나왔습니다.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기업 EDB가 17일, ‘EDB 포스트그레스 AI’라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전 세계에 공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처리, 분석, 그리고 생성형 AI 관련 작업까지 하나의 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데이터 유출 걱정 없는 AI라고?

EDB는 이 새로운 플랫폼을 ‘업계 최초의 소버린 데이터 및 AI 플랫폼’이라고 소개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데이터 주권’과 ‘보안 강화’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 회사 데이터를 외부로 내보내지 않고 회사 내부에서 안전하게 AI 모델을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기존 AI 모델들이 외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학습하고 작동했던 것과는 달리, 이 기술은 AI 기능을 데이터가 저장된 내부 시스템 안으로 가져옵니다. 캐빈 댈러스 EDB 최고경영자(CEO)는 "AI는 산업혁명만큼 거대한 변화이며, 모든 기업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AI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EDB의 플랫폼이 보안과 데이터 통제력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코딩 몰라도 AI 개발 가능하다고? 진짜?

놀랍게도 ‘EDB 포스트그레스 AI’는 코딩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AI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로우코드’ 방식을 지원합니다. 복잡한 코딩 없이 몇 단계 설정만으로 AI 챗봇 등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기존 데이터를 통합해 지식 베이스를 만들고, 몇 가지 규칙 설정과 외부 도구 연동을 거쳐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튜닝할 수 있습니다. 이 플랫폼 안에는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검색을 통해 AI 답변의 정확도를 높이는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그리고 ChatGPT나 라마(Llama) 같은 다양한 외부 AI 모델을 선택해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생성형 챗봇 뿐만 아니라 문서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자동 고객 지원, 회사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AI 비서 개발까지 가능해집니다.

그럼 우리 회사도 바로 쓸 수 있는 거야?

이 플랫폼은 관찰 기능도 뛰어나 AI가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응답을 생성했는지 추적하고 시각화할 수 있어, 문제 발생 시 원인 파악과 규제 대응에 유리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이든, 회사 자체 데이터센터든, 심지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환경(에어갭 엣지)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쿠버네티스라는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에 최적화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에 쉽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EDB는 금융권의 AI 기반 문서 응답 시스템, 제조·통신 분야의 실시간 분석 기반 자동화 에이전트, 공공 부문의 자체 데이터 기반 AI 시스템 등 산업별 맞춤형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희배 EDB코리아 지사장은 “전 세계 대기업 68%가 자체 AI·데이터 플랫폼 구축 계획을 갖고 있다”며, “‘포스트그레스 AI’는 기술 자립과 데이터 통제를 원하는 기업에게 매우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내부 AI 시스템, 보안과 혁신 중 뭐가 더 중요한가?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