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챗GPT, 이제 자리 뺏기나?” 절반 가격에 더 빠른 국산 AI의 등장

댓글 1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7.03 17:41
“챗GPT, 이제 자리 뺏기나?” 절반 가격에 더 빠른 국산 AI의 등장

기사 3줄 요약

  • 1 한국 AI 스타트업 라이너, 챗GPT 넘는 검색 AI 공개
  • 2 10년간 쌓은 데이터로 학습, 가격은 최대 50% 저렴
  • 3 글로벌 AI 검색 시장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도전장
AI 검색 시장의 절대 강자로 여겨지던 ‘챗GPT’의 아성에 도전하는 한국 기업이 나타났습니다. 바로 AI 스타트업 라이너가 ‘챗GPT’보다 저렴하고 빠른 자체 검색 AI를 공개한 것입니다. 한국의 AI 스타트업 라이너가 공개한 ‘라이너 검색 LLM’은 오픈AI의 ‘GPT-4.1’ 모델과의 성능 비교에서 우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빅테크가 주도하는 AI 시장에 던지는 의미 있는 출사표로 평가됩니다. 라이너는 이번 AI 모델이 리서치와 정보 탐색에 최적화되어, 더 정확하고 빠른 결과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뭐가 얼마나 다른 건데?

라이너 검색 LLM은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만드는 전 과정을 8개의 전문 부품(컴포넌트)으로 나누어 처리합니다. 이 중 4개 핵심 부품에서 성능, 속도, 비용 모든 면에서 ‘GPT-4.1’을 앞섰습니다. 특히 AI 서비스의 운영 비용을 보여주는 토큰당 비용은 챗GPT보다 평균 30~50%나 저렴합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이 결과가 단순 실험실 수치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실제 수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얻어낸 결과이기에 신뢰성이 높습니다. 이는 대규모 사용자가 몰려도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AI 검색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챗GPT를 이긴 비결이 뭐야?

이러한 성과의 뒤에는 라이너만의 특별한 무기가 있었습니다. 비결은 라이너가 10여 년간 쌓아온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와 독자적인 학습 방식에 있었습니다. 라이너는 오픈 소스 AI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들이 어떤 정보를 찾고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학습시켰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학습은 AI가 엉뚱한 답변을 하는 ‘환각 현상(할루시네이션)’을 크게 줄였습니다. 조현석 라이너 테크 리드는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학습시키고, 어떤 구조로 질문을 처리하느냐가 AI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AI 검색 시장, 어떻게 바뀔까?

라이너의 이번 발표는 AI 검색 시장의 미래에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이제 AI 경쟁은 단순히 누가 더 큰 모델을 만드느냐의 싸움이 아닐 수 있습니다. 특정 목적에 맞춰 데이터를 잘 학습시킨 작고 효율적인 모델이 거대 모델을 이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번 성과는 AI 시장이 단순히 크기 경쟁이 아닌, 데이터와 기술력으로 승부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AI 검색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라이너)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1

국산 AI가 해외 빅테크를 이길 수 있을까?

댓글 1

1시간 전

걍 우리나라 무조건 홧팅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