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짜 AI는 끝났다” 저커버그의 배신, 메타의 초거대 AI 결국 유료화?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7.31 03:14

기사 3줄 요약
- 1 저커버그, 메타의 ‘초지능 AI’ 비공개 전환 시사
- 2 오픈AI와 경쟁 심화, AI 유료화 수익 모델 모색
- 3 최첨단 AI, 앞으로 메타 제품 통해 유료 제공될 듯
메타의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가 충격적인 계획을 내비쳤습니다.
앞으로 개발될 ‘사람보다 훨씬 똑똑한 초지능 AI’는 전부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AI 기술을 누구나 무료로 쓸 수 있게 하겠다던 기존의 ‘오픈소스’ 약속을 뒤집는 발언이어서 큰 논란이 예상됩니다.
AI는 공짜 아니었어?
지금까지 메타는 ‘라마(Llama)’라는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경쟁력을 키워왔습니다. 오픈소스는 소스코드를 공짜로 풀어 누구나 기술을 가져다 쓰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기술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는 OpenAI, 구글 같은 경쟁사들과 다른 행보였습니다. 저커버그는 “미래의 라마 모델이 업계 최고가 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습니다.갑자기 왜 마음이 바뀐 거야?
최근 메타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OpenAI의 GPT-4 모델을 넘어서야 한다는 압박감이 커진 것입니다. 메타는 AI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인재 영입과 데이터 센터 구축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부었습니다. 최근에는 143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20조 원을 투자해 AI 기업을 인수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막대한 돈을 쓴 만큼, 이제는 AI로 직접 돈을 벌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고민이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그럼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데?
저커버그는 ‘개인용 초지능’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앞으로는 증강현실(AR) 안경이나 가상현실(VR) 헤드셋 같은 메타의 자체 제품을 통해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결국 가장 뛰어난 성능의 AI는 메타 제품 사용자만 쓸 수 있는 유료 서비스가 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메타 대변인은 “오픈소스 정책은 변함없다”면서도 “앞으로 공개 모델과 비공개 모델을 함께 훈련할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습니다. (사진 출처: 셔터스톡)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기술, 공개보다 수익화가 맞는가?
맞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