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챗GPT도 모르는 정답을..” 3명의 AI가 팀플로 찾아준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7.31 16:16
“챗GPT도 모르는 정답을..” 3명의 AI가 팀플로 찾아준다

기사 3줄 요약

  • 1 한국 기업 인핸스, 3명의 AI가 팀플하는 신기술 개발
  • 2 챗GPT보다 정확한 검색으로 국제 학회서 주목받아
  • 3 AI의 문화적 편견 해결하는 기술까지 함께 발표해
챗GPT도 못 찾는 정답을 찾아주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습니다. 한국의 AI 전문 기업 인핸스가 개발한 이 기술은 3명의 AI가 한 팀처럼 움직여 검색의 정확도를 크게 높였습니다. 심지어 AI가 가진 문화적 편견 문제까지 해결하는 연구 성과를 내며 세계적인 학회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AI가 어떻게 다른 건데?

인핸스가 개발한 핵심 기술은 'AMD'라는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3명의 AI 전문가가 협업하는 '드림팀' 같은 구조입니다. 첫 번째 AI는 소크라테스처럼 똑똑한 질문을 던져 사용자의 진짜 의도를 파악합니다. 두 번째 AI는 이 질문을 바탕으로 대화하며 가장 적절한 답변을 찾아냅니다. 마지막 세 번째 AI는 찾아낸 답변이 정확한지, 믿을 만한지 꼼꼼하게 검토하고 피드백을 줍니다. 이런 팀워크 덕분에 기존 검색보다 훨씬 정밀하고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AI가 인종차별? 그것도 해결했다고?

인핸스는 AI의 또 다른 골칫거리인 '문화적 편견'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지금의 AI들은 주로 서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해,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인핸스는 중국의 베이징대, 칭화대와 함께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AI에게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배경 정보를 가르쳐, 보다 공정하고 다양한 관점의 답변을 생성하게 만듭니다.

이 기술, 우리 삶에 무슨 소용이야?

이러한 기술 발전은 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더는 부정확한 검색 결과 때문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AI가 나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편견 없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습니다. 인핸스는 이 기술들을 자사의 서비스에 적용해 더욱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구분내용
연구 목표LLM의 문화적 편향 해소 및 AI 에이전트 검색 능력 향상
AAAI-AIES 2025개인 문화적 가치 기반 LLM 편향 해소 프레임워크 제시
SIGKDD 2025AMD 프레임워크 기반 검색 정확도 및 다양성 향상 기법 제시
기대 효과커머스, 학술 연구, 정책 결정 등 다양한 분야 기여
(사진 출처: 인헨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AI 팀플이 인간 협업을 대체할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