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챗GPT 본사가 한국에?” OpenAI, 아시아 AI 거점 ‘여기’ 콕 찍었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5.23 18:28
“챗GPT 본사가 한국에?” OpenAI, 아시아 AI 거점 ‘여기’ 콕 찍었다!

기사 3줄 요약

  • 1 OpenAI, 아시아 태평양 AI 인프라 확장
  • 2 제이슨 권 CSO, 한국 등 주요국 순방
  • 3 각국 맞춤형 챗GPT 및 데이터센터 구축 목표
챗GPT로 유명한 인공지능(AI) 선두 기업 OpenAI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무대로 거대한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스타게이트 글로벌’이라는 이름의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 국가들이 자체 AI 기술을 구축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OpenAI의 최고 전략 책임자(CSO)인 제이슨 권이 직접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국 순방에 나설 예정이어서 큰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OpenAI의 큰 그림, '스타게이트 글로벌'은 뭐길래?

‘스타게이트 글로벌’은 OpenAI가 추진하는 ‘국가를 위한 OpenAI’ 계획의 핵심입니다. 각 나라 정부나 기업과 손잡고, 그 나라에 딱 맞는 AI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아랍에미리트(UAE)에는 이미 ‘스타게이트 UAE’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설과 함께 UAE 국민 전체에게 챗GPT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아시아가 왜 중요한데? 한국도 후보?

OpenAI의 제이슨 권 CSO는 다음 주부터 한국, 일본, 호주, 인도, 싱가포르 등을 방문합니다. 이번 방문은 각국 정부 및 기업 파트너들과 만나 AI를 위한 핵심 시설, 즉 데이터센터를 함께 짓고 OpenAI의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하기 위함입니다. 특히 한국이 이 중요한 프로젝트의 후보지로 검토된다는 점에서 국내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 AI 기술 경쟁의 현주소는?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이 자국의 AI 기술을 중국보다 먼저 전 세계에 확산시키려는 큰 전략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AI 기술 패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OpenAI의 글로벌 확장은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엔비디아 같은 회사의 고급 AI 반도체나 핵심 기술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어떤 기회가 될 수 있을까?

만약 한국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파트너로 선정된다면, 국내 AI 기술 발전의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현실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데이터센터 같은 첨단 AI 인프라를 갖추게 되는 것이죠. 크리스 리한 OpenAI 글로벌 정책 총괄은 “지금은 전 세계가 AI 기술 확보를 국가적 과제로 인식하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강조하며, 이미 30개국 이상이 협의를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한국에 OpenAI 데이터센터 유치, 찬성?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