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게임 캐릭터가 AI 비서?” 한때 시리 라이벌, 코타나는 왜 사라졌나

댓글 2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8.05 15:12
“게임 캐릭터가 AI 비서?” 한때 시리 라이벌, 코타나는 왜 사라졌나

기사 3줄 요약

  • 1 MS 코타나와 아마존 알렉사, AI 비서의 엇갈린 운명
  • 2 폐쇄적 전략의 코타나 몰락, 개방형 생태계의 알렉사 성공
  • 3 게임 ‘헤일로’와 영화 ‘스타트렉’에서 탄생한 AI 비서들
2014년, 애플의 ‘시리’가 문을 연 인공지능(AI) 비서 시장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타나’와 아마존의 ‘알렉사’가 뛰어들며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두 서비스 모두 출시 당시 큰 기대를 모았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길을 걷고 있습니다. 한때 시리의 강력한 라이벌로 꼽혔던 코타나는 왜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알렉사는 어떻게 AI 비서 시장의 승자가 될 수 있었을까요?

그래서 코타나는 왜 실패했는데?

MS가 2014년 4월 공개한 코타나는 인기 게임 ‘헤일로’에 등장하는 AI 캐릭터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MS는 자체 검색 엔진 ‘빙’을 활용해 시리보다 더 똑똑한 답변 능력을 자랑했고, 심지어 음성 기술 강화를 위해 22조 원을 들여 전문 기업 ‘뉘앙스’를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MS의 폐쇄적인 전략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코타나를 윈도우 PC, X박스 등 자사 기기에만 묶어두려 한 것입니다. 결국 다른 기기와의 연결이나 외부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소홀했고, 2023년 공식적으로 서비스 지원을 종료하며 쓸쓸하게 퇴장했습니다.

알렉사는 어떻게 성공한 거야?

반면, 아마존의 알렉사는 탄생부터 달랐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개인적인 ‘스타트렉’ 사랑에서 시작됐습니다. 그는 스마트폰의 추가 기능이 아닌, 오직 AI를 위한 새로운 기기를 꿈꿨고, 그 결과물이 바로 스피커 ‘에코’였습니다. 이는 ‘원거리 음성인식’이라는 새로운 기술적 도전을 낳았습니다. 방 안 어디서든 목소리를 알아들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은 7개의 마이크를 장착한 스피커를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또한 ‘스킬’이라는 앱 장터 개념을 도입해 누구나 알렉사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활짝 열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따로 있었다고?

코타나와 알렉사의 성공과 실패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전략과 비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코타나가 기존 기기의 ‘부가 기능’에 머무른 반면, 알렉사는 ‘AI 우선’이라는 명확한 목표 아래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습니다. 결국 사용자에게 더 열려있고 편리한 경험을 제공한 쪽이 승리한 셈입니다. 아래 표는 두 서비스의 핵심적인 차이를 요약한 것입니다.
구분코타나 (MS)알렉사 (아마존)
출시2014년 4월2014년 11월
영감게임 '헤일로'영화 '스타트렉'
핵심 전략윈도우 생태계 중심의 폐쇄적 접근'에코' 스피커 중심의 개방형 생태계
결과2023년 서비스 지원 종료스마트홈 생태계의 중심으로 성장
두 AI 비서의 이야기는 기술의 미래가 단순히 기술 개발에만 달려있지 않다는 중요한 교훈을 남깁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2

AI 비서, 폐쇄적 vs 개방적 전략 어떤 게 맞아?

댓글 2

11시간 전

나도몰랐어 ㅋㅋ

YN
YNLV.8
17시간 전

MS가 코타나 한줄도 몰랐네..ㅋㅋ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