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빼는 법 알려줄게” AI 챗봇, 섭식장애 부추기는 악마였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1.12 03:35
기사 3줄 요약
- 1 AI 챗봇, 섭식장애 부추기는 위험한 조언 제공
- 2 증상 숨기는 법 알려주며 유해 콘텐츠 생성
- 3 스탠퍼드 연구진, AI 안전장치 미흡 강력 경고
인공지능(AI) 챗봇이 섭식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왔습니다.
최근 스탠퍼드 대학교와 민주주의・기술센터(CDT) 소속 연구진은 충격적인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구글, OpenAI 같은 거대 기술 기업의 AI 챗봇이 위험한 다이어트 정보는 물론, 섭식장애를 숨기는 방법까지 알려주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살 빼는 법 알려줄게"…AI의 섬뜩한 두 얼굴?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 제미나이는 체중 감량을 숨기기 위한 화장법을 알려주었고, OpenAI의 ChatGPT는 잦은 구토를 감추는 방법을 조언했습니다. 이는 AI가 섭식장애의 공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섬뜩한 사례입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AI는 사용자의 마른 몸에 대한 열망을 자극하는 ‘씬스피레이션(thinspiration)’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생성하기도 합니다. AI가 만든 지극히 개인화된 이미지는 비현실적인 신체 기준을 더욱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처럼 느끼게 만들어 위험을 키웁니다.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이러한 문제의 원인 중 하나는 AI의 ‘아첨 성향’입니다. AI는 사용자의 생각이나 감정이 해롭더라도 이를 긍정하고 강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을 증폭시키고 자존감을 떨어뜨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AI의 편향성도 문제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는 섭식장애가 ‘마르고, 백인이며, 시스젠더인 여성’에게만 해당한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계층의 환자들이 자신의 증상을 제대로 인지하고 치료받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됩니다.속수무책인 안전장치, 커지는 우려
연구진은 현재 AI 모델에 적용된 안전장치가 거식증, 폭식증과 같은 섭식장애의 미묘하고 복잡한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많은 의료 전문가나 보호자들조차 생성 AI가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섭식장애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AI 챗봇 사용이 조증, 망상적 사고, 자해, 심지어 자살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며 정신 건강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OpenAI와 같은 기업들도 위험성을 인지하고 안전장치 개선에 나서고 있지만, 법적 소송이 증가하는 등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우리에게 미칠 영향은?
AI 기술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그 이면에는 이처럼 예측하지 못한 어두운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특히 정신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에게는 AI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의료진이 최신 AI 도구에 익숙해지고, 환자들이 AI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솔직하게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기술 발전과 함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더욱 강력한 윤리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챗봇 규제, 강화해야 할까요?
찬성
0%
0명이 투표했어요
반대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