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다른 이유 있었다” AI가 소비자 정보 빼돌려 가격 장난치는 현장 포착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1.12 04:42
기사 3줄 요약
- 1 뉴욕주, AI 가격 책정 공개 의무화 법안 시행
- 2 기업들, 개인정보 활용 시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 3 '깜깜이 가격' 막고 소비자 알 권리 보장 목적
같은 물건인데 친구와 내가 보는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 이제는 비밀이 아니게 됐습니다.
최근 미국 뉴욕주에서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소비자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가격을 매길 경우, 이 사실을 반드시 알려야 하는 새로운 법이 시행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어대시(DoorDash)와 같은 배달 앱에서는 이미 관련 안내 문구가 뜨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이게 무슨 법인데?
‘알고리즘 가격 공개법’이라고 불리는 이 법은 기업이 소비자의 위치나 쇼핑 습관 같은 개인정보를 분석해 가격을 다르게 책정할 때, 그 사실을 명확히 밝히도록 의무화합니다. 뉴욕 주 법무장관실에 따르면, 기업들은 가격 옆에 “이 가격은 당신의 개인 데이터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책정되었습니다”라는 문구를 눈에 잘 띄게 표시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작은 글씨로 안내하는 수준을 넘어섭니다. 광고, 앱 화면, 이미지 등 가격이 보이는 모든 곳에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기업들이 AI를 이용해 ‘깜깜이 가격’을 매기는 관행에 제동을 건 셈입니다.아니, 내 정보를 어떻게 알고 가격을 바꿔?
이런 기술을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 가격 책정’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온라인에서 남기는 모든 디지털 발자국, 예를 들어 어디에 사는지, 무엇을 자주 검색하고 구매하는지 등의 데이터를 AI가 분석합니다. 그리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소비자에게 더 높은 가격을 부를지, 혹은 할인을 제공할지 실시간으로 결정합니다. 문제는 이런 과정이 소비자 모르게 투명하지 않게 이루어져 왔다는 점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익을 극대화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자신도 모르게 더 비싼 값을 치르는 불공정한 차별을 당할 수 있습니다.앞으로 뭐가 달라지는 거야?
이번 법 시행으로 가장 크게 달라지는 점은 바로 ‘투명성’입니다. 소비자는 이제 자신이 보는 가격이 AI에 의해 맞춤 설정된 것인지 아닌지 명확히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곧 잠재적인 가격 차별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더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기업들은 법을 어길 시 건당 최대 1,000달러(약 138만 원)의 벌금을 물게 될 수 있어 상당한 압박을 받게 됐습니다. 뉴욕주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한 지역의 법안을 넘어, AI 기술을 어떻게 책임감 있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며 전 세계적인 AI 규제 논의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가격 차별, 법적 규제 필요한가?
필요하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불필요하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