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먹는 하마 되나?” OpenAI 구제금융 의혹에 美 발칵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11.19 03:45
기사 3줄 요약
- 1 미국 워런 상원의원, OpenAI 구제금융 의혹 제기
- 2 조 단위 적자 쌓인 OpenAI, 정부에 지원 요청 정황 포착
- 3 트럼프 행정부와 빅테크 유착 관계에 논란 확산
미국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칼을 빼 들었습니다. OpenAI 같은 거대 AI 기업을 국민 세금으로 지원하려는 계획이 있는지 밝히라며 강하게 압박하고 나선 것입니다.
최근 OpenAI의 재무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논란은 시작됐습니다. 조 단위의 막대한 돈을 쏟아붓고 있지만, 그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해 심각한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OpenAI가 망하면 내 세금으로 살려준다고?
이번 논란에 불을 지핀 것은 OpenAI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발언이었습니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막대한 투자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정부가 일종의 '안전망'이 되어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가 논란이 되자 발언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워런 의원실이 공개한 서한에 따르면, OpenAI는 이미 지난 10월 트럼프 행정부에 서한을 보냈습니다. 반도체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첨단 제조 투자 세액공제(AMIC)' 혜택을 AI 데이터센터와 서버 구축에도 적용해달라고 공식 요청한 사실이 드러난 것입니다.OpenAI는 아니라는데, 왜 자꾸 의심하지?
물론 샘 알트먼 OpenAI CEO는 정부 보증을 원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잘못된 경영 판단을 한 기업을 구제하기 위해 세금을 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OpenAI의 재정 상태는 이런 주장을 무색하게 만듭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OpenAI는 2024년에만 50억 달러(약 6조 9000억 원)의 손실을 봤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135억 달러, 지난 분기에만 120억 달러의 추가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폭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정치권과 빅테크, 뭔가 있는 거 아니야?
워런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과 빅테크 기업 경영진들의 관계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백악관 만찬을 열어주거나 거액을 기부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입니다. 워런 의원은 이를 두고 ‘잠재적 뇌물’일 수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OpenAI가 의도적으로 정부와 경제에 깊숙이 얽혀, 문제가 생겼을 때 어쩔 수 없이 세금으로 도울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마치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대형 은행들이 '망하기엔 너무 크다'는 논리로 구제금융을 받았던 상황을 떠올리게 합니다.그래서 진짜 구제금융 해주는 거야, 마는 거야?
백악관 AI 특별 고문인 데이비드 색스는 “AI 기업에 대한 연방 정부의 구제금융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하지만 워런 의원의 의심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에 OpenAI를 포함한 AI 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계획이 있는지, 그리고 세액공제 혜택을 AI 인프라 구축에 적용할 것인지 등에 대해 2025년 12월 1일까지 답변하라고 요구했습니다. OpenAI의 미래와 국민 세금의 향방이 걸린 이번 논쟁에 미국 전체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기업 적자, 세금으로 구제해야 할까?
찬성
0%
0명이 투표했어요
반대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