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야근 이제 진짜 끝났다?” 칸마다 AI가 알아서 일 해준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8.19 00:23

기사 3줄 요약
- 1 AI 에이전트 탑재 스프레드시트 '패러다임' 등장
- 2 각 셀의 AI가 인터넷 정보 자동 수집 및 입력
- 3 70억 원 투자 유치, 업무 자동화 시대 예고
단순 데이터 입력과 같은 반복적인 엑셀 작업 때문에 야근을 해본 경험이 다들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제는 이런 ‘엑셀 노가다’가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모든 셀에 인공지능(AI) 직원을 탑재해 스스로 일하는 새로운 개념의 스프레드시트 ‘패러다임(Paradigm)’이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이 회사는 최근 700만 달러(약 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본격적인 서비스 시작을 알렸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작동하는데?
패러다임의 작동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강력합니다. 사용자가 각 셀이나 열에 원하는 작업 명령어를 입력하면, 셀에 심어진 AI 에이전트가 인터넷을 검색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 자동으로 채워 넣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이름 목록만 있으면 AI가 각 회사의 홈페이지 주소, 대표 이메일, 최근 뉴스 기사까지 순식간에 정리해 줍니다. 이는 마치 5,000명이 넘는 AI 직원이 동시에 자료 조사를 해주는 것과 같습니다. 패러다임은 앤트로픽, OpenAI, 구글의 제미나이 등 여러 AI 모델을 지원합니다. 덕분에 사용자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가장 성능이 좋거나 저렴한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구글, MS도 뛰어들었는데 뭐가 달라?
물론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같은 거대 기업들도 기존 엑셀과 스프레드시트에 AI 기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패러다임은 단순히 기능을 추가한 것이 아니라, ‘AI 기반의 새로운 업무 방식’ 자체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집니다. 패러다임의 창업자 안나 모나코(Anna Monaco)는 “패러다임을 단순한 스프레드시트가 아닌, AI 중심의 새로운 워크플로우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지금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스프레드시트 형태를 빌렸지만, 앞으로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업무 도구로 발전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미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EY나 AI 코딩 회사 코그니션(Cognition) 등이 초기 고객으로 패러다임을 사용하며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기존 스프레드시트와 패러다임의 차이점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특징 | 기존 스프레드시트 | 패러다임 |
---|---|---|
데이터 입력 | 수동 입력 | AI 에이전트 자동 입력 |
데이터 분석 | 수동 분석 | AI 에이전트 자동 분석 |
AI 모델 지원 | 제한적 | 앤트로픽, OpenAI, 구글 제미나이 등 |
사용자 맞춤형 환경 | 제한적 | 프롬프트 및 AI 모델 선택 가능 |
생산성 | 낮음 | 높음 |
앞으로 어떻게 될까?
패러다임은 이번에 확보한 500만 달러(약 70억 원)의 투자금으로 더욱 공격적인 제품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투자자들조차 투자 검토 과정에서 제품을 사용해보고 그 가치를 직접 확인했을 정도입니다. 반복적인 데이터 작업은 AI에 맡기고, 인간은 더 창의적이고 중요한 의사결정에 집중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패러다임의 등장은 이러한 업무 환경의 변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스프레드시트, 업무 효율화인가 일자리 위협인가?
효율화
0%
0명이 투표했어요
위협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