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산업/비즈니스

"모로코가 다음 격전지?" 네이버, 엔비디아 손잡고 유럽 AI 시장 넘본다!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6.13 11:29
"모로코가 다음 격전지?" 네이버, 엔비디아 손잡고 유럽 AI 시장 넘본다!

기사 3줄 요약

  • 1 네이버-엔비디아, 모로코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 2 유럽·중동·아프리카 겨냥, ‘소버린 AI’ 전략 핵심
  • 3 최대 500MW 규모, 엔비디아 최신 GPU GB200 탑재
네이버가 글로벌 IT 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아프리카 모로코에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며 유럽 시장 공략의 신호탄을 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현지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AI를 운영하는 '소버린 AI' 전략으로, 유럽을 넘어 중동과 아프리카 시장까지 겨냥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네이버의 글로벌 영토 확장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네이버, 엔비디아, AI 인프라 기업 넥서스 코어 시스템즈, 글로벌 투자사 로이드 캐피탈이 함께하는 이번 컨소시엄은 모로코에 최종 500메가와트(MW)급 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네이버의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270MW)의 약 1.8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입니다. 1단계로 올해 4분기부터 40MW급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시작하며, 여기에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GB200이 탑재될 예정입니다.

네이버가 왜 유럽도 아니고 아프리카 모로코에 데이터센터를?

모로코는 유럽 대륙과 불과 15km 떨어진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어, 유럽 시장에 AI 서비스를 공급하기에 최적의 위치로 평가받습니다. 또한, 여러 해저 광케이블로 유럽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을 친환경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에너지 기업 타카(TAQA)와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도 체결했습니다. 이러한 지리적, 환경적 이점을 바탕으로 네이버는 모로코를 유럽, 중동, 아프리카(EMEA)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네이버의 기술력이 이러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듣도 보도 못한 ‘소버린 AI’가 대체 뭐길래?

'소버린 AI'란 데이터 주권을 핵심 가치로 두고, 데이터의 저장부터 처리, 운영까지 모든 과정을 특정 국가나 지역 내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각 나라의 데이터를 그 나라 안에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그 나라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최근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특히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소버린 AI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모로코 데이터센터의 플랫폼 운영 주체로 참여하여,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AI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데이터 주권을 중시하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소버린 AI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입니다.

그래서 네이버의 유럽 도전, 진짜 성공할까?

채선주 네이버 전략사업대표는 "사우디에서 입증된 네이버의 기술력과 실행력에 대한 신뢰가 이번 글로벌 프로젝트 참여로 이어진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실제로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이미 다양한 기술 협력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이번 모로코 AI 데이터센터 구축은 네이버의 클라우드와 AI 기술이 일본, 동남아, 중동을 넘어 유럽 시장까지 본격적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유럽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고 규제도 까다롭지만, 네이버가 소버린 AI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새로운 성공 스토리를 쓸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네이버의 모로코 AI 센터, 유럽 공략 성공할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