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빛이 반도체 삼켰다!” 100배 빠른 MIT 광학칩, 6G 미래 바꿀까?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6.17 20:24
“빛이 반도체 삼켰다!” 100배 빠른 MIT 광학칩, 6G 미래 바꿀까?

기사 3줄 요약

  • 1 MIT, 빛 활용한 100배 빠른 AI 광학 프로세서 개발
  • 2 6G 통신, 자율주행, 의료 등 첨단 분야 혁신 기대
  • 3 기존 AI칩 대비 소형, 저렴, 에너지 효율 우수
미래 공상 과학 영화에서나 보던 빛의 속도 컴퓨팅이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이 빛을 이용해 인공지능(AI) 연산을 수행하는 혁신적인 광학 프로세서를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이 기술은 차세대 6G 무선 통신 시대를 열 핵심 열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 AI 연산은 주로 전기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식에 의존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전력 소모가 크고, 실시간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차나 스마트 의료기기처럼 즉각적인 반응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더욱 그랬습니다.

이게 왜 그렇게 대단한 건데?

이번에 MIT가 개발한 광학 AI 프로세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이 광학 칩은 디지털 방식보다 약 100배나 빠른 속도로 무선 신호를 분류하며, 정확도 또한 약 95%에 달합니다. 쉽게 말해, 빛의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판단하는 셈입니다. 이 놀라운 성능의 비밀은 'MAFT-ONN(곱셈 아날로그 주파수 변환 광학 신경망)'이라는 독특한 설계 구조에 있습니다. 이 구조는 모든 신호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에서 빛으로 바꿔 처리합니다. 덕분에 기존 디지털 AI 하드웨어보다 크기는 작고 가벼우면서, 가격 경쟁력과 에너지 효율까지 높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삶이 어떻게 바뀐다는 거야?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우리 생활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장 6G 통신 시대가 성큼 다가올 것입니다. 6G는 지금의 5G보다 훨씬 빠르고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데, 광학 AI 프로세서가 이 과정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환경 변화에 더욱 순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스마트 심박조율기 같은 의료 기기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더욱 정밀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신호 처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극적인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향한 첫걸음, 기대되는 혁신

물론 아직 넘어야 할 산은 있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더 많은 연산을 수행하고, 이 광학 칩을 더 작게 만들기 위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입니다. 더 나아가 ChatGPT와 같은 대형언어모델(LLM)을 실행할 수 있는 복잡한 AI 모델까지 이 광학 칩으로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더크 잉글룬드 MIT 교수는 "이 연구는 실시간 AI 추론의 많은 가능성을 열어주며, 상당히 영향력 있는 무언가의 시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빛의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는 AI 시대, MIT의 이번 발표는 그 서막을 알리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빛 기반 AI 반도체, 기술 혁명 가져올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