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해🦉
기술/연구

“챗GPT의 변덕, 드디어 잡는다” 3조 원 투자받은 AI 연구소의 해법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9.11 07:44
“챗GPT의 변덕, 드디어 잡는다” 3조 원 투자받은 AI 연구소의 해법

기사 3줄 요약

  • 1 전 OpenAI CTO, AI 답변 불일치 문제 해결 선언
  • 2 GPU 커널 제어로 AI의 무작위성 잡는 기술 공개
  • 3 3조 원 투자받은 신생 연구소, 업계 판도 바꾸나
인공지능(AI)에게 같은 질문을 여러 번 하면 매번 다른 답변이 나와 당황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AI는 원래 변덕스럽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OpenAI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였던 미라 무라티가 세운 신생 연구소 ‘씽킹 머신 랩’이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무려 20억 달러(약 2조 70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AI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AI는 왜 매번 다른 말을 할까?

씽킹 머신 랩은 최근 공개한 블로그 게시물에서 AI 답변의 무작위성은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문제의 근본 원인이 AI 모델 자체가 아니라, 엔비디아 같은 회사의 컴퓨터 칩(GPU) 내부에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인 ‘커널’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에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쉽게 말해, AI의 두뇌로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혼선이 생겨 매번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연구소는 이 연결 과정을 정교하게 제어하면 AI가 항상 일관된 답변을 내놓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일관성 있는 AI가 왜 중요한데?

AI의 답변이 일관성을 갖게 되면 활용도는 크게 높아집니다. 기업이나 과학자들은 AI가 내놓은 결과를 더 신뢰하고 중요한 결정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AI를 훈련시키는 과정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AI 훈련 방식 중에는 AI가 올바른 답을 내놓으면 보상을 주는 ‘강화 학습’이 있습니다. 만약 답변이 계속 바뀐다면 어떤 답변에 보상을 줘야 할지 애매해지지만, 일관된 답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AI 성능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OpenAI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씽킹 머신 랩은 앞으로 몇 달 안에 첫 번째 제품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자신들의 연구 내용과 코드를 대중에게 공개해 AI 기술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는 점점 더 폐쇄적으로 변하는 OpenAI와는 다른 행보입니다.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비밀스러운 AI 스타트업 중 하나였던 씽킹 머신 랩이 과연 AI의 오랜 숙제를 풀고, 120억 달러(약 16조 원)의 기업 가치를 증명하며 업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편집자 프로필
편집: 이도윤 기자
이메일: aipick@aipick.kr
AI PICK 로고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

AI 연구 공개가 더 좋은 기술 발전으로 이어질까?

댓글 0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