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안 한다니..." 2조 국가 AI센터 유찰, 대체 무슨 일?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5.30 19:14

기사 3줄 요약
- 1 2조 5천억 규모 국가 AI센터 1차 공모 유찰
- 2 신청 기업 전무, 낮은 수익성과 책임 부담 원인
- 3 정부, 조건 변경 없이 6월 2일부터 재공고 예정
최근 대한민국 IT 업계에 예상치 못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무려 2조 5천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의 첫 사업자 공모가 신청 기업 '0곳'이라는 초유의 결과로 마무리된 것입니다. 마치 잘 차려진 잔칫상에 아무도 오지 않은 듯한 이 상황에, 정부와 업계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2조짜리 AI센터가 뭐길래?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핵심 시설입니다. AI 개발에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한데, 이 센터는 그런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대규모로 구축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부는 이 사업에 최대 2조 5천억 원을 투자하며, 공공 부문이 51%, 민간 기업이 49%의 지분을 갖는 특수목적법인(SPC)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었습니다. 목표는 AI 연구와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서, 우리나라가 AI 선도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하는 것입니다. 부족한 AI 인프라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해결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와 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에 필요한 핵심 자원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습니다.근데 왜 아무도 관심 없어? 유찰 실화?
이렇게 중요한 국가 사업에 선뜻 나서는 기업이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IT 업계에서는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낮은 수익성과 과도한 책임 부담이 꼽힙니다.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에 비해, 공공성을 강조하다 보니 서비스 요금을 마음대로 정하기 어려워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사업 실패 시 기업이 져야 할 책임이 너무 크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사업이 중단될 경우 정부 투자금을 이자까지 쳐서 돌려줘야 하거나, 손해가 발생해도 제대로 보상받기 어려운 조건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삼성SDS, 삼성전자, 네이버클라우드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결국 이들도 1차 공모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그래서 다음은? 재공고하면 달라질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차 공모가 유찰됨에 따라, 오는 6월 2일부터 다시 사업자 공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재공고는 1차 때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되며, 최소 10일 이상 공고 기간을 둘 계획입니다. 재공고에서는 단 한 곳의 기업이라도 신청하면 유찰되지 않고 해당 기업이 사업자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공모 조건이 바뀌지 않는 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기업들이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수익 모델을 개선하고, 과도한 책임 조항을 완화하는 등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번 유찰 사태를 교훈 삼아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국가 AI센터, 정부 주도가 맞을까?
맞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