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맥북으로 로봇 조종?” 허깅페이스의 초대박 기술, 대체 뭐길래?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6.08 06:49

기사 3줄 요약
- 1 허깅페이스, 로봇용 AI '스몰VLA' 공개
- 2 맥북에서도 작동, 로봇 기술 대중화 기대
- 3 오픈소스로 저비용 로봇 생태계 조성 목표
이제 비싼 전문 장비 없이 개인용 맥북 컴퓨터 하나로 로봇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AI 기술의 선두 주자 중 하나인 허깅페이스가 맥북에서도 거뜬히 돌아가는 혁신적인 로봇 제어 AI 모델, ‘스몰VLA(SmolVLA)’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로봇 기술 대중화에 성큼 다가섰습니다. 이는 값비싼 장비나 복잡한 개발 환경 없이도 누구나 로봇 AI를 연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스몰VLA는 마치 똑똑한 로봇 두뇌와 같습니다. 로봇이 눈으로 보는 장면, 센서로 느끼는 정보, 그리고 사람이 말로 내리는 명령까지 한꺼번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행동(VLA)’ 모델입니다. 이 똑똑한 두뇌 덕분에 로봇은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스몰VLA가 뭔데?
스몰VLA의 가장 큰 특징은 ‘작지만 강하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거대한 AI 모델들과 달리 약 4억 5000만 개의 비교적 적은 파라미터(AI 모델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구성되어 매우 가볍습니다. 덕분에 고가의 전문가용 장비가 아닌 일반 소비자용 컴퓨터나 노트북, 심지어 애플의 맥북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합니다. 이는 로봇 연구나 개발이 더 이상 거대 기업이나 연구소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을 뜻합니다. 개인 개발자, 학생, 교육자, 심지어 로봇에 관심 있는 일반인까지 누구나 쉽게 로봇 AI의 세계에 뛰어들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허깅페이스는 이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약 2만 3000개의 다양한 상황 시나리오로 구성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작다고 얕보면 안돼! 성능은?
스몰VLA는 크기는 작지만 성능은 결코 만만치 않습니다. 허깅페이스가 공개한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가상 환경에서의 로봇 조작 테스트(LIBERO)에서 평균 87.3%의 높은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더 복잡한 가상 환경(메타-월드)에서는 기존의 더 큰 AI 모델들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습니다. 실제 로봇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물건을 집어 옮기거나(픽앤플레이스), 블록을 쌓고, 물건을 분류하는 등의 작업에서 평균 78.3%의 성공률을 기록하며 실용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스몰VLM-2’라는 시각 및 언어 정보 처리 모듈과 ‘액션 전문가’라는 행동 예측 모듈 덕분입니다. 또한, 로봇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과 실제 움직이는 과정을 분리하는 ‘비동기 추론 스택’ 기술로 복잡한 환경에서도 빠르게 반응합니다.환경 | 주요 작업 | 성공률 | 비고 |
---|---|---|---|
LIBERO (가상) | 다양한 로봇 조작 | 87.3% | 평균 성공률 |
메타-월드 (가상) | 복잡한 로봇 작업 | 기존 모델 능가 | 더 큰 모델보다 우수 |
실제 로봇 환경 | 물건 집기, 쌓기, 분류 등 | 78.3% | 평균 성공률, 대형 모델 능가 |
허깅페이스, 진짜 로봇 대중화 하려는 거야?
스몰VLA 공개는 허깅페이스가 추진하는 ‘저비용 오픈소스 로보틱스 생태계’ 구축 전략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허깅페이스는 최근 인수한 프랑스 로봇 스타트업 ‘폴렌 로보틱스’와 협력하여 저렴한 로봇 시스템에서도 스몰VLA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나아가 스몰VLA 모델 자체는 물론,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셋과 관련 개발 도구까지 모두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로봇 AI 연구의 문턱을 크게 낮추고, 전 세계 개발자들의 지식과 기술 공유를 촉진할 것입니다. 허깅페이스는 최근 약 414만 원짜리 개발자용 휴머노이드 로봇 하드웨어를 출시하는 등 로보틱스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공격적으로 이어가고 있어, 앞으로 로봇 기술이 우리 생활에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몰VLA의 등장은 로봇 AI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 개발 비용 절감, 기술 혁신 가속화,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 확대가 예상됩니다. 물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지만, 스몰VLA는 분명 로보틱스 AI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로봇 AI 기술 오픈소스화, 찬성?
찬성
0%
0명이 투표했어요
반대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