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미국 식민지 되나?” 트럼프의 AI 패권 전략, 한국의 운명은…
댓글 2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7.25 11:31

기사 3줄 요약
- 1 트럼프, 미국 AI 패권 장악 위한 '액션플랜' 발표
- 2 한국 AI 기술 독립 위협, 반도체 산업 타격 우려
- 3 위기와 기회 공존, 정부와 기업의 신속한 대응 절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중심의 인공지능(AI) 패권 장악을 위한 'AI 액션플랜'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미국 AI 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다른 나라의 추격은 뿌리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 AI 생태계와 반도체 산업에 거대한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계획이 정확히 뭔데?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AI 기술과 관련된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핵심은 미국 AI 기술의 수출을 늘리고, 기업 활동을 방해하는 불필요한 규제는 대폭 없애겠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미국 기업들이 전 세계 AI 시장을 마음껏 장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 나서서 길을 터주겠다는 의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 아기(AI)를 키워야지, 바보 같은 규제로 막아서는 안 된다"며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였습니다.이게 왜 한국한테는 위기라는 거야?
미국의 이런 움직임은 한국에겐 상당한 압박으로 다가옵니다. 가장 큰 걱정은 '기술 종속'입니다. 미국이 만든 AI 기술과 서비스가 전 세계 표준이 되면, 한국 기업들은 미국의 하청업체 역할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AI 기술을 개발하려는 '소버린 AI' 정책도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유망한 AI 스타트업이나 뛰어난 인재들이 더 좋은 환경을 찾아 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도 커집니다. 특히 한국 경제의 기둥인 반도체 산업도 위험합니다. 미국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늘리고 중국으로의 수출을 막으면,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우리 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습니다.그래도 기회는 아예 없는 거야?
물론 위기 속에 기회도 있습니다. 미국이 동맹국에는 AI 개발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첨단 장비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AI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면 국내 스타트업들이 적은 비용으로 기술을 활용해 성장할 발판을 마련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도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아 현지 공장을 지으며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런 복잡한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와 기업이 얼마나 발 빠르게 대응 전략을 세우느냐가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열쇠가 될 전망입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2미국 AI 패권에 한국이 종속되는 게 불가피한가?
그렇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아니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관련 기사
최신 기사




AI만 종속된게 아니지. 그리고 종속이라는 표현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해. 국제정치에서는 상호주의라는 원칙이란게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