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 믿었다간 큰일? ‘가짜 부품’ 넣어 시스템 마비시켜
댓글 0
·
저장 0
·
편집: 이도윤 기자
발행: 2025.04.29 21:53

기사 3줄 요약
- 1 AI 코드 생성기, '가짜 부품' 참조 코드 만들어 문제.
- 2 해커, '가짜 부품' 이름 악용해 악성 코드 심어 공격.
- 3 AI 코드 확산에 따라 공급망 전체 보안 위험 커져.
요즘 코딩할 때 AI 도움받는 경우 많습니다. 그런데 이 AI가 만든 코드를 무작정 믿었다가는 큰일 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AI가 존재하지 않는 가짜 부품, 즉 '패키지'를 사용하라고 코드를 짜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걸 '패키지 환각'이라고 부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기술책임자(CTO) 케빈 스콧은 앞으로 5년 안에 전체 코드의 95%를 AI가 만들 거라 예측했습니다. 편리함은 커지겠지만, 이런 '환각' 문제 때문에 보안에는 빨간불이 켜진 셈입니다. AI가 실수로 만든 '가짜 부품' 정보가 해커 손에 들어가면 심각한 문제가 터질 수 있습니다.
이게 왜 문제인데?
AI가 코드를 짜다가 있지도 않은 'insecure-package-xyz' 같은 가짜 부품(패키지)을 쓰라고 알려주는 게 '패키지 환각'입니다. 마치 레고 설명서에 없는 부품 번호가 적힌 것과 비슷합니다. 개발자는 AI가 시키는 대로 이 부품을 찾게 되는데, 당연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때 해커가 나설 수 있습니다. 해커는 AI가 자주 만들어내는 '가짜 부품' 이름을 알아냅니다. 그리고 그 이름으로 악성 코드가 담긴 진짜 '나쁜 부품'을 만들어 인터넷(패키지 저장소)에 올려놓습니다. 개발자가 AI가 알려준 대로 'insecure-package-xyz'를 설치하려고 하면, 해커가 만든 악성 코드가 대신 설치될 수 있습니다. 이걸 '의존성 혼동 공격'이라고 부릅니다. 순식간에 개발자 컴퓨터나 회사 시스템 전체가 감염될 수 있는 거죠.얼마나 심각한 거야?
연구에 따르면, 오픈소스 AI 모델이 만든 코드의 21%에서 이런 '가짜 부품'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상용 AI 모델은 5%로 비교적 낮았지만, 안심할 수준은 아닙니다. 특히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코드를 만들 때(21%) 파이썬(Python) 코드를 만들 때(16%)보다 환각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났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생태계가 워낙 복잡하고 부품 종류가 많아서 AI가 헷갈리기 쉽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MS CTO의 예측처럼 AI가 코드 대부분을 짜게 된다면, 이런 '가짜 부품' 문제로 인한 보안 사고는 훨씬 더 자주,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은 실수 하나가 소프트웨어 공급망 전체를 마비시키는 재앙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그럼 어떻게 막아야 해?
AI가 만든 코드라고 그냥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면 안 됩니다. 몇 가지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먼저, AI가 만든 코드도 사람이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특히 코드에 포함된 부품(의존성) 목록을 확인해서 실제로 존재하고 안전한 부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동으로 의심스러운 부품을 찾아주는 도구(Dependency Scanning, SCA)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개발자 스스로도 보안 의식을 높여야 합니다. 어떤 부품을 사용할 때 이게 정말 믿을 만한 것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고, AI 모델 자체도 이런 '환각' 오류를 줄이도록 계속 개선하고 감시해야 합니다. 회사 차원에서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부품 저장소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혹시 모를 공격에 대비해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등의 조치도 필요합니다.그래서 뭘 알아야 하지?
AI 코드 생성 기술은 분명 편리하지만, '패키지 환각'이라는 숨겨진 위험이 있습니다. AI가 짜준 코드도 무조건 믿지 말고, 항상 검증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개발자 개인의 노력과 함께, 기업과 AI 기술 개발사 모두가 책임감을 갖고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편리함 뒤에는 항상 책임이 따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편집자:
이도윤 기자
제보·문의:
aipick@aipick.kr

부키와 모키의 티격태격
찬/반 투표
총 투표수: 0AI 코딩 도우미, 신뢰해도 될까?
신뢰한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의심한다
0%
0명이 투표했어요
댓글 0개
관련 기사
최신 기사



